메디아티 강정수 팀장 '저널리즘 산업과 혁신실험'
-Voice Search
-물건 검색은 Amazon에서 한다. 대한민국은 문맹률이 낮다. 중국, 브라질은 높다.
-Voice 부분을 놓칠 수 없다.
-Voice search is disruptive.
-New Media Landscape이 달라졌다.
-넷플릭스 스트리밍
-ESPN이 들어오면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. 스포츠는 라이브로 봐야 한다.
-Netflix is eating television.
-종이신문이 망하지 않는 이유는 의사 결정권자가 종이 신문을 보고 있기 때문이다.
-어떤 기업은 80% 캐시 슬라이드로 돈을 번다.
-광고 소비의 패턴이 바뀐다.
-일단 방송사 들어가는 거 중요하다ㅋㅋㅋㅋ
-내 동기들 모두 별처럼 똑똑했는데 부장 되면 사람이 달라진다 ㅋㅋ
-Media Startup
-Target Audience 중요하다.
-원래 잘하던 거 말고 못하던 거 연습해야 한다. 스브스 뉴스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동질성이 성공 요소.
-Bustle.com, Refinery29.com. Broadly. Romper.com 외신을 주목하자.
-타켓 오디언스를 세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.
-저널리스트는 예술가가 아니다. 타켓팅을 생각해야 한다.
-ROOF, Media Reverse Enginerring.
-취직을 하더라도 프로젝트는 상당히 중요하다.
-분석은 데이터가 많을 때도 중요하지만 적을 때도 중요하다.
-저널리즘은 시공간을 대신하면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. 아르바이트 후기 글로 미디어를 만들었다.
-나는 테블릿 PC만이 저널리즘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. 고발하는 것만이 저널리즘이라 생각하지 않는다.
-Job을 갖고 미디어 스타트업을 해도 된다.
-시사 IN에서는 성별과 나이를 분석해서 최대 효율화를 내고 있다.
-한국에서는 50대가 메인 스트림이다. 50대가 10년은 이어간다. 레거시 미디어에 가서 솔루션을 만들자.
-끊임없이 블로깅하고 유트브하고 퍼블리싱하자.
JTBC 김일숙 디지털뉴스룸 팀장
-소셜 라이브 중심으로 설명
'Sprots life2 > 넥스트 저널리즘 스쿨 5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비평]넥스트 저널리즘 스쿨 솔직한 후기 after one month (0) | 2018.08.24 |
---|---|
2018 넥스트 저널리즘 스쿨 5기 3일차(수) (0) | 2018.07.04 |
2018 넥스트 저널리즘 스쿨 5기 2일차(화) (0) | 2018.07.04 |
넥스트 저널리즘 스쿨 5기 합격 (0) | 2018.07.01 |